잠이 많아서 고민이니? 일단 누르고 읽어보자!
롱 슬리퍼와 숏 슬리퍼의 차이!
안녕하세요. 건강에 관심 많은 청년입니다.
여러분들은 하루에 몇 시간 잠을 자나요? 6시간? 5시간? 8시간? 10시간? 주어진 환경에 따라 잠자는 시간이 차이가 있을 겁니다.
여러 잠자는 시간과 관계 없이 확실한 것은 몸에서 잠이 부족하다고 느낄 경우 좋지만은 않을 거에요.
낮 시간의 활동에 지장이 있을 것이며,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게 되면 비만해 질 겁니다.
또한, 수면 부족으로 면역기관에 이상이 생기면 암을 유발하기도 하고요. 기억력에 장애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럴 때면 한 번쯤 생각해보게 됩니다. 잠을 조금만 자도 멀쩡하게 생활하는 사람 너무 부럽다. 그래서 준비해 봤습니다.
오늘은 숏 슬리퍼와 롱 슬리퍼의 특징과 차이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다들 따라 오시죠!
우선 잠의 단계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잠의 유형이 숏 슬리퍼, 롱 슬리퍼에 관계 없이 전체적인 싸이클은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총 5단계 흐름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2단계는 얕은 수면입니다. 3,4단계는 깊은 수면입니다. 5단계는 렘 수면입니다.
우리는 잠을 잘때 낮 시간 동안에 몸과 정신에 생긴 독소를 제거하며, 몸이 회복하는 단계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 것은 깊은 수면에서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깊은 수면을 경험하기 위해 전 초전으로 얕은 수면을 경험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렘 수면 단계는 우리가 ‘꿈’을 꾸는 단계이며, 숏 슬리퍼는 5단계인 ‘렘 수면’단계를 생략한다고 합니다.
반대로 ‘롱 슬리퍼’는 ‘렘 수면’단계는 물론, 나머지 단계별 싸이클의 주기가 길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각 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인물들이 있습니다.
숏 슬리퍼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토마스 에디슨, 윈스터 처칠, 나폴레옹이 있습니다.
토마스 에디슨은 하루에 4시간 숙면하는 사람으로 유명하여 시X스 침대에 광고 모델로도 나왔죠.
윈스터 처칠도 정치가로서 대표적인 숏 슬리퍼에 해당 되며 나폴레옹의 유명한 일화로는 전쟁중 말을 타면서도 쪽잠을 자는 유명한 숏 슬리퍼였습니다.
롱 슬리퍼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아인 슈타인과 쇼펜 하우어, 데카르트가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자서전을 보면 알겠지만 그는 10~11시간 이상 자지 않으면 연구를 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쇼펜하우어 또한 일상의 대부분을 소파에서 보낸 것으로 유명하며 데카르트의 경우 아침 잠이 많아 정오가 되어서 일어나는게 일상이었습니다.
이 천재에게 해당되는 일화로는 기숙 학교에서 예외적으로 11시에 기상하는 것을 허락했다고 하네요.
각 유형에 따른 원인은 대표적으로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나뉘어 집니다.
숏 슬리퍼는 선천적으로 ‘DEC 유전자’가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렘수면 단계를 skip하고 나머지 단계만으로 싸이클을 구성하게 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너무 갖고 싶네요. 이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전체 인구의 1%정도 됩니다.
후천적으로는 성공한 사업가, 성공한 정치인에게서 많이 발견이 되는데, 목적의식이 뚜렷하고,
역경을 잘 이겨내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고 있어 심리적으로 ‘경조증’을 갖고 있는데 다음날에 대한 설레임과 기대감에 후천적으로 잠을 적게 자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롱 슬리퍼 또한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나뉘는데,
후천적으로는 스트레스가 많을 경우 현실에 대한 도피로 잠을 많이 자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알코올 중독과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있습니다.
각 유형별로 특징이 있습니다.
물론 유형별로 모든 것을 극명하게 나누기 쉽지는 않지만, 대표적으로 이렇다고 합니다.
숏 슬리퍼의 특징으로는 사물을 깊게 생각하지 않으며, 역경을 잘 이겨내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반대로 롱 슬리퍼는 비판적이며, 내향적인 사람들이 많으며, 창조적인 직업을 하는 예술가나 과학자가 많다고 합니다.
일상 생활에 잠이 많아 고생하는 사람에게는 숏 슬리퍼가 너무나 부러울 수 있지만,
잠이 많다고 투정 부리기 보다는 깨어있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롱 슬리퍼와 숏 슬리퍼의 특징에 대해 알아 봤구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MENTAL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형 AB형의 성격, 특징, 연애 스타일 총 정리! (0) | 2018.01.03 |
---|---|
'감사하는 마음'이 주는 '엄청난' 과학적인 효과 (0) | 2017.11.09 |
불안 장애 증상, 설마 나도 해당되는 걸까? (0) | 2017.09.04 |
치매 초기 증상, 설마 나도 치매일까? (0) | 2017.09.03 |
공황장애 증상,설마 나도 공황장애 증상인걸까? (0) | 2017.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