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에 관심 많은 청년입니다.
오늘은 한글날입니다. 자랑스러운 우리의 한글 탄생을 기리기 위해 공휴일로 지정된 날이기도 하지만,
긴 연휴의 마지막 이기도 하기에 왠지 슬퍼지네요.
오늘 다룰 주제는 치아 신경 치료 후 통증에 관해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요즘 만만치 않은 치료 비용을 자랑하는 치아 치료, 비용도 비용이지만, 비싼 치료비를 주고 치료 했는데,
이 후 통증이 발생할 경우 굉장히 찝찝하게 됩니다. ‘치료가 잘못 되었나? 돈 주고 치료 했는데 왜 더 아프지?’라는 의구심이 들게 되는데요.
오늘은 그 원인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합니다.
신경 치료란 무엇일까요?
‘신경 치료’의 정의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위키백과에 ‘신경 치료’라고 검색하면 ‘근관 치료’로 넘어가게 됩니다.
‘근관 치료’는 충치나 외부 자극에 의해 치아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치수를 제거하고 그 공간에 다른 재료를 밀봉하여 통증을 제거하고 치아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수술이다. ‘신경 치료’라고도 불리지만 신경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치아 내부의 신경과 혈관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위키백과에 나와 있듯이, 실제 우리에게 익숙하게 불리는 신경 치료의 원래의 명칭은 ‘근관 치료’입니다.
‘위키 백과’에는 좀 어렵게 정의가 되어 있는데 쉽게 말씀드리면,
‘치아’를 잡고 있는 주변의 신경들을 ‘치수’라고 부르는데 ‘치아’가 부식되거나, 침투할 경우 이 ‘치수’가 감염이 됩니다.
‘치수’에 침입된 이 박테리아균들이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들의 발전과 전이를 막기 위해 신경과 혈관을 제거하는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것이 ‘근관 치료’, 우리가 부르는 ‘신경 치료’에 해당 하겠습니다.
그러면 신경 치료는 통증을 감소 시키기 위해 진행하는 것인데
‘신경 치료’를 해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 때문에 검색해서 들어 오셨을 겁니다.
그 원인이 무엇일까요?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치아(뼈)의 감염입니다.
물론, 의사 선생님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감행 했을 것입니다.
치아를 제거하는 것보단 최대한 ‘자연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박테리아가 감염된 신경들을 제거하고 구멍난 치아를 메우거나, 씌울 것입니다.
그러나, 박테리아 균이 치아까지 번져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의사가 ‘자연치’를 최대한 유지 해야겠다는 판단이 서게될 경우 일부의 박테리아가 남아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해당 수술을 진행한 것이기 때문에,
3~5일 정도는 통증이 있을 수 있으니 기다려보고 그래도 통증이 있다면,
본인의 면역 체계로 감당이 되지 않을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치과에 방문하여 항생제를 처방 받아야 합니다.
두 번째, 생각보다 많은 신경이 감염 되었을 경우입니다.
‘자연치’를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신경 치료’ 후 씌우거나, 메웠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있다면, 신경에 박테리아가 생각보다 많이 퍼졌을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 빼도 박도 못하게 치아를 제거하고 임플란트를 감행해야 할 것입니다.
세 번째, 과도하게 씌워 졌거나, 메워 졌을 경우입니다.
부식된 치아를 제거한 후, 구멍난 곳에 씌우거나, 메우게 되는데 많은 부식으로 인해 과도하게 메우거나,
씌우게 되면 주위 치아에 비해 너무 많은 힘으로 반대편 치아를 치기 때문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행 스럽게도 이 것은 너무나 쉽게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3~4일정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에 내방하여 의사와 상담하면 되겠습니다.
네 번째, 치아 염소산이나 나트륨 과도하게 사용했을 경우입니다.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굉장히 미비합니다.
염소산이나 나트륨은 부식된 치아나 신경 치료를 한 후 치아 뿌리를 소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됩니다.
허나, 이게 과도하게 많이 사용될 경우 신경 치료가 된 이 후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의사와의 면담을 통해 항생제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길게는 몇 주 동안 복용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감염된 신경을 놓쳤을 경우입니다.
입 근처에 모여 있는 치아가 아닌, 입 안쪽 어금니 쪽에 분포된 치아 뿌리가 박테리아에 의해 감염 되었을 경우, 의사가 감염된 작은 주머니를 놓쳤을수도 있습니다. 감염된 신경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시술을 하기 전과 같이 시리거나, 욱신거리는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경험이 많은 치과 의사에게 방문하여 재 진료를 받아야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신경 치료 후 통증’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해당 증상이 있을 경우, 보편적으로 3~4일 정도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이게 지속될 경우 병원에 내방하여 의사의 진단을 받아야 겠습니다.
좋은 날씨, 마지막 명절 잘 보내시길 바라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PHYSICAL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른 사람 살찌는 법 궁금 하세요? (0) | 2017.10.12 |
---|---|
구내염 원인은 무엇일까요? 구내염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0) | 2017.10.11 |
당뇨병의 초기 증상은 무엇일까? (0) | 2017.10.07 |
하지정맥류 치료 방법, 하치정맥류 원인은 무엇일까? (0) | 2017.08.30 |
과학적인, 머리숱 많아지는 법, 머리 빨리 기르는 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17.08.29 |